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헌법재판관 명단 및 프로필 정치적 성향 총정리(2025년 3월 기준)

by 하늘루프1 2025. 3. 31.

 

2025년 3월 현재, 헌법재판소는 우리나라 헌법 질서를 수호하는 최후의 보루로서, 국민 기본권 보장과 주요 헌법적 사안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헌법재판소를 구성하고 있는 9인의 재판관은 누구일까요?
어떤 경력을 갖고 있으며, 어떤 성향으로 평가될까요?

아래에 각 재판관의 프로필과 함께 정치적 성향을 정리했습니다.

 

 

🔹 헌법재판관 명단 및 프로필 (2025년 3월 기준)

1. 이종석 헌법재판소장

  • 출생연도: 1957년
  • 출신지: 경남 거창
  • 학력: 서울대 법대
  • 주요 경력: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서울행정법원장, 대법원 재판연구관
  • 임명일: 2018년 10월 18일
  • 성향: 중도
  • 특징: 중도적 시각과 안정적인 리더십으로 평가받으며, 2023년 11월부터 소장직 수행 중

2. 문형배 재판관

  • 출생연도: 1965년
  • 출신지: 부산
  • 학력: 서울대 법대
  • 주요 경력: 부산고법 부장판사, 우리법연구회 회장
  • 임명일: 2019년 4월 19일
  • 성향: 진보
  • 특징: 소신 있는 판결로 진보진영의 지지를 받는 대표적 재판관

3. 이미선 재판관

  • 출생연도: 1970년
  • 출신지: 대전
  • 학력: 서울대 법대
  • 주요 경력: 서울행정법원 판사, 특허법원 부장판사
  • 임명일: 2019년 4월 19일
  • 성향: 진보
  • 특징: 노동법 및 사회적 약자 보호 분야에 전문성

4. 김형두 재판관

  • 출생연도: 1964년
  • 출신지: 충남 공주
  • 학력: 서울대 법대
  • 주요 경력: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실장
  • 임명일: 2023년 3월 31일
  • 성향: 중도
  • 특징: 법률 실무와 정책을 두루 경험한 균형 감각

5. 정정미 재판관

  • 출생연도: 1965년
  • 출신지: 전남 목포
  • 학력: 서울대 법대
  • 주요 경력: 대법원 재판연구관,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 임명일: 2023년 4월 17일
  • 성향: 중도 진보
  • 특징: 학문적 법리 해석에 강점을 보이는 여성 재판관

6. 정형식 재판관

  • 출생연도: 1962년
  • 출신지: 충북 청주
  • 학력: 서울대 법대
  • 주요 경력: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대법원 재판연구관
  • 임명일: 2023년 12월 18일
  • 성향: 보수
  • 특징: 형사사건 중심의 보수적 판단 경향

7. 김복형 재판관

  • 출생연도: 1965년
  • 출신지: 전북 군산
  • 학력: 고려대 법대
  • 주요 경력: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수원지법원장
  • 임명일: 2024년 9월 21일
  • 성향: 중도 보수
  • 특징: 지역 법조계 출신으로 균형적 판단력

8. 조한창 재판관

  • 출생연도: 1965년
  • 출신지: 서울
  • 학력: 연세대 법대
  • 주요 경력: 서울고법 부장판사, 법원행정처 기획조정실장
  • 임명일: 2025년 1월 1일
  • 성향: 보수
  • 특징: 실무에 강하고 조직 관리 경험이 풍부

9. 정계선 재판관

  • 출생연도: 1969년
  • 출신지: 충북 충주
  • 학력: 서울대 법대
  • 주요 경력: 서울서부지법원장, 사법정책연구원장
  • 임명일: 2025년 1월 1일
  • 성향: 진보
  • 특징: 사회적 약자 보호 및 법원 내 다양성에 기여

⚖️ 재판관 성향별 구성 분석

  • 진보 성향: 3명 (문형배, 이미선, 정계선)
  • 중도 또는 중도 진보: 2명 (김형두, 정정미)
  • 중도 보수 또는 보수: 4명 (정형식, 김복형, 조한창, 이종석)

📍현재 헌재는 진보 3 / 중도 2 / 보수 4로 분포되어 있으며, 사안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균형 잡힌 판결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 마무리 정리

  • 헌법재판소는 특정 정치 세력에 치우치지 않고 헌법과 양심에 따라 독립적인 판단을 내립니다.
  • 개인 성향에 대한 관심은 있을 수 있으나, 제도적으로 견제와 균형이 작동합니다.
  • 향후 정치적 이슈나 탄핵 심판 등 국민적 관심 사안에서, 이들의 역할은 막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